성평등한 중랑을 위해 마을과 함께 활동하고 연대하는 중랑구성평등활동센터
프로그램 후기
<성평등이 뭐길래 : 입문편2> 3강 섹슈얼리티 이해하기
작성자
중랑구성평등활동센터
작성일
2023-07-05 16:35
조회
439
지난 3월 정희진 선생님이 진행해 주신 <성평등이 뭐길래 입문편>에 이어서 입문편2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입문편 2는 6월 8일부터 매주 목요일 총 3강으로 경희대후마니타스칼리지 엄혜진 교수님이 진행해 주십니다.
입문 강좌라 좀더 많은 분들이 참여하셨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저녁 시간 온라인 강의로 준비했습니다. 가까운 경기도부터 나주, 울산, 부산 등 지역과 멀리 제주도, 심지어 해외에서도 신청해 주셨답니다. 온라인 강의는 현장에서 교감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멀리 계신 분들도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주기도 합니다.

마지막 시간은 ‘섹슈얼리티’ 이해하기입니다. 첫 시간부터 시작된 섹스, 젠더 개념에 이은 ‘섹슈얼리티’ 개념은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을까요?
‘섹슈얼리티’라는 개념은 sex-ual-ity. 성적인 몸, 성적인 행동, 성적인 관계, 성적인 제도를 통해 형성되는 성적 감정, 욕망, 판타지/정체성/성적 규범 등을 설명하는 조금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관련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개념으로는 성적 자기결정권, 성적 대상화, 성적 지향/정체성 등이 있습니다. 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가 특정한 섹슈얼리티를 자연적이고 불변적인 것으로 만들어 젠더 권력 관계를 유지시킨다는 문제 의식을 가졌습니다.
섹슈얼리티 개념은 1) 성적 행위, 쾌락, 욕망, 감정, 판타지와 같은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차원 2) 동성애자, 이성애자, 양성애자, 무성애자와 같은 성적 정체성의 차원 3) 성적 태도, 행동. 관계와 관련한 사회적 규범과 제도의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섹슈얼리티’ 개념을 적용할 때 문제 의식을 가져야 하는 지점들이 있습니다. 누구를 섹슈얼리티의 주체로 보는가? 어떤 섹슈얼리티를 정상적인 것으로 보는가? 섹슈얼리티 의제는 어디, 어떻게 배치되는가? 섹슈얼리티는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 등등입니다. 엄혜진 선생님께서는 실제 생활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사례들로 섹슈얼리티 개념이 사회적으로 적용될 때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아야 하는지 설명해 주셨습니다.

참여자들은 첫 시간 페미니즘의 등장에서부터 섹스, 젠더 개념을 거쳐 마지막 섹슈얼리티 개념까지 각각의 개념들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 어떤 문제의식을 지니고 그 개념을 적용해야 하는지까지 쭉 연결해서 듣고 나니 조금은 막연했던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좋았다고 하셨습니다.
페미니즘은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내가 아닌 특별한 누군가의 영역이라 생각하는 경우도 많구요. 센터에서 진행하는 입문강좌를 통해 그런 선입견이 조금은 사라지기를 바랍니다. 한 번의 강의로 모두가 페미니즘 전문가가 될 수는 없지만 함께 공부하다보면 나만의 언어가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참여자들도 지속적인 강의에 대한 열망을 표현해 주셨어요. 센터에서 진행되는 성평등입문강좌는 앞으로도 주욱~~~ 계속됩니다.
입문 강좌라 좀더 많은 분들이 참여하셨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저녁 시간 온라인 강의로 준비했습니다. 가까운 경기도부터 나주, 울산, 부산 등 지역과 멀리 제주도, 심지어 해외에서도 신청해 주셨답니다. 온라인 강의는 현장에서 교감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멀리 계신 분들도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주기도 합니다.

마지막 시간은 ‘섹슈얼리티’ 이해하기입니다. 첫 시간부터 시작된 섹스, 젠더 개념에 이은 ‘섹슈얼리티’ 개념은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을까요?
‘섹슈얼리티’라는 개념은 sex-ual-ity. 성적인 몸, 성적인 행동, 성적인 관계, 성적인 제도를 통해 형성되는 성적 감정, 욕망, 판타지/정체성/성적 규범 등을 설명하는 조금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관련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개념으로는 성적 자기결정권, 성적 대상화, 성적 지향/정체성 등이 있습니다. 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가 특정한 섹슈얼리티를 자연적이고 불변적인 것으로 만들어 젠더 권력 관계를 유지시킨다는 문제 의식을 가졌습니다.
섹슈얼리티 개념은 1) 성적 행위, 쾌락, 욕망, 감정, 판타지와 같은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차원 2) 동성애자, 이성애자, 양성애자, 무성애자와 같은 성적 정체성의 차원 3) 성적 태도, 행동. 관계와 관련한 사회적 규범과 제도의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섹슈얼리티’ 개념을 적용할 때 문제 의식을 가져야 하는 지점들이 있습니다. 누구를 섹슈얼리티의 주체로 보는가? 어떤 섹슈얼리티를 정상적인 것으로 보는가? 섹슈얼리티 의제는 어디, 어떻게 배치되는가? 섹슈얼리티는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 등등입니다. 엄혜진 선생님께서는 실제 생활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사례들로 섹슈얼리티 개념이 사회적으로 적용될 때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아야 하는지 설명해 주셨습니다.

참여자들은 첫 시간 페미니즘의 등장에서부터 섹스, 젠더 개념을 거쳐 마지막 섹슈얼리티 개념까지 각각의 개념들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 어떤 문제의식을 지니고 그 개념을 적용해야 하는지까지 쭉 연결해서 듣고 나니 조금은 막연했던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좋았다고 하셨습니다.
페미니즘은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내가 아닌 특별한 누군가의 영역이라 생각하는 경우도 많구요. 센터에서 진행하는 입문강좌를 통해 그런 선입견이 조금은 사라지기를 바랍니다. 한 번의 강의로 모두가 페미니즘 전문가가 될 수는 없지만 함께 공부하다보면 나만의 언어가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참여자들도 지속적인 강의에 대한 열망을 표현해 주셨어요. 센터에서 진행되는 성평등입문강좌는 앞으로도 주욱~~~ 계속됩니다.